광고 배너 이미지

“광역쇼핑시설 영향 업태별 차등평가 해야”
경기硏, 대형유통 출점 영향 보고서

발행 2018년 07월 27일

임경량기자 , lkr@apparelnews.co.kr

[어패럴뉴스 임경량 기자] 최근 백화점, 복합쇼핑몰, 대형패션아울렛, 창고형 대형마트 등 광역쇼핑시설의 증가로 상권갈등이 커지는 가운데, 대규모점포 개설등록 시 상권 영향평가의 대상범위를 업태별로 차등 확대하고 광역권 차원에서 광역쇼핑시설의 출점을 관리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최근 광역쇼핑시설의 상권 특성과 이용실태, 기존 상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광역쇼핑시설 확산에 따른 상권갈등의 합리적 해소방안을 제시한 ‘광역쇼핑시설의 상권 특성과 지역적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수도권 거주자 1531명을 대상으로 광역쇼핑시설 이용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복합쇼핑몰(83.3%)’, ‘대형패션아울렛(79.5%)’, ‘창고형대형마트(72.7%)’ 순으로 나타나, 대다수의 수도권 주민들이 광역쇼핑시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광역쇼핑시설이 영향을 미치는 상권범위를 이용자 거주지비율 기준으로 산출한 결과, 대형패션아울렛(21.3㎞), 복합쇼핑몰(18.0㎞), 창고형대형마트(15.8㎞), 백화점(11.4㎞)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형마트(4.3㎞) 대비 2.5배~5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광역쇼핑시설 출점에 따른 기존 쇼핑시설의 이용변화를 분석한 결과, 신규 복합쇼핑몰 이용객 중에서 기존 대규모유통부문(백화점, 복합쇼핑몰, 대형마트 등)의 이용을 줄인 이용객의 비율은 40.3%이며, 기존의 중소유통 부문(동네·골목상가, 지역중심상가 등)의 이용을 줄인 이용객의 비율은 12.9%로 나타났다.


신기동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광역쇼핑시설 출점은 기존의 중소유통 부문은 물론 대규모유통부문까지 상당한 수준의 상권잠식 충격을 준다”며 “광역권 단위에서 광역쇼핑시설의 출점속도와 출점규모에 대한 총량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광역쇼핑시설 출점이 잠재적 소비 유발과 같은 긍정적 효과도 있지만, 중소유통점의 폐업증가, 대규모 유통점간 출혈경쟁으로 인한 입점업체의 영업실적 저하, 고용안정성 악화 등 부정적 효과도 불가피하다고 언급했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기 버튼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지면 뉴스 보기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