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배너 이미지

서울 및 수도권 9개 백화점 제화 매출(2019년 1~7월)
외우내환의 제화업계, 거듭되는 고전

발행 2019년 09월 02일

박해영기자 , envy007@apparelnews.co.kr

조닝 축소에도 매출 역신장
상위권 이외에 하향평준화

 

[어패럴뉴스 박해영 기자] 서울 및 수도권 주요 9개 백화점의 올 1~7월 제화 매출은 고전을 거듭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우내환을 겪으면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주요 브랜드의 제화 하청 공장 공임과 퇴직금 이슈로 민주노총과 갈등이 지속되면서 경영 및 제조 환경이 악화됐다. 더불어 백화점 조닝 축소, 트렌드 변화, 저가 시장 확대에 따른 가격 경쟁력 상실 등이 겹쳤다.

 

제화 조닝 축소도 가속화되고 있다.


지난해보다 20% 이상 줄었다. 점차 여화존과 남화존을 통합하는 백화점도 늘고 있다.


월평균 1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 브랜드 수도 급격히 줄었다. 점포별로 월평균 1억 원 이상 올린 매장 수가 1~3개로 조사됐다. 롯데 본점 3개, 잠실 3개, 현대 무역센터 1개, 미아점 1개, 신세계 경기점 1개, AK 수원점 2개로 나타났다.


점포별로 월 2천만 원 미만 매출을 올린 매장이 30~60%로 조사, 하향 평준화 현상이 종전보다 심화됐다.


롯데 본점은 17개 브랜드 중에서 8개가 전년대비 신장했다. 47%가 매출이 오른 것이다.


이는 지난해보다 37%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올 1~2월 미세먼지로 인해 영업에 타격은 입었지만 2~3분기에 어느 정도 만회됐다.


지난해에는 사드 사태, 제화 공임 시위 등 악재로 인해 낙폭이 워낙 컸다. 이에 실적 호조보다는 자연 신장한 것으로 분석된다. 점은 제화 조닝을 효율 위주로 재편했다. 현재 영업중인 제화 브랜드가 예년에 비해 20% 이상 줄었다.


닥스, 락포트, 랜드로바 등은 한 자릿수 역신장했다. 이에 반해 게스 슈즈, 제옥스, 사스 등은 전년 대비 3~16% 신장했다.


10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 브랜드는 ‘탠디’가 유일했고 뒤를 이어 ‘소다’와 ‘금강’이 각각 9억대, 7억대로 2~3위를 기록했다. 4억~5억 원의 매출을 올린 브랜드가 전체의 64%나 차지했다.


잠실점은 남화와 여화가 극명하게 차이가 났다. 남화는 호조세를, 여화는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남화 중 신장한 브랜드 비중이 72%, 여화는 21%로 조사됐다. 이중 남화는 지난 해 50%에서 올해 12%포인트 더 증가했다. 금강, 소다, 탠디, 미소페 등 중상위권 브랜드 중심으로 신장했다.


여화는 오브엠, 캠퍼, 탠디만 전년대비 신장했다. 지난해는 신장한 브랜드가 66%에 달했다. 여성 슈즈 트렌드가 운동화, 스니커즈로 이동하면서 정통 구두 브랜드들이 고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양극화도 뚜렷했다. ‘탠디’와 ‘소다’만 10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렸고 나머지 브랜드 대부분이 4억 원 이하였다. 상위권과 중하위권의 매출 격차가 3배 가까이 났다.


현대 무역센터점은 지난해보다 브랜드가 줄었다. 그럼에도 입점 브랜드 중 60%가 역신장했다. ‘미소페’가 역신장이 가장 컸는데 하청 공장 직원들의 지속적인 시위로 인해 영업에 타격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전년대비 약 30% 가까이 매출이 빠졌다.


신장이 높은 브랜드는 락포트, 닥스, 캠퍼 순으로 해외 브랜드가 강한 면모를 보였다.


‘탠디’가 전년대비 두 자릿수 역신장에도 불구 7억2천9백만 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소다’와 ‘닥스’가 2~3위에 올랐다.


중동점은 리딩 브랜드 쏠림이 유독 심했다. 매출 1위인 ‘탠디’가 10억8천만 원을, 2위인 ‘소다’가 5억 원대로 격차가 무려 2배나 벌어졌다. 하위권과는 9배 이상 벌어졌다.


하위그룹은 누계 매출이 1~2억 원대 밖에 되지 않았다. 월평균 2천만~3천만 원 수준인 브랜드가 절반을 차지했다.


신장한 브랜드도 ‘소다’와 ‘탠디’가 유일했다. 80% 이상이 전년대비 역신장했다.

 

신세계 강남점도 고전을 거듭했다.


여화 입점 브랜드(동일 영업 기간 기준) 중 70%가 역신장했다. 탠디, 금강 등 리딩 그룹이 전년대비 신장했다. 매출은 ‘탠디’가 6억 원대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바바라’가 5억 원대로 2위를 차지했다. ‘바바라’는 2년 연속 2위를 기록했고 신장했다. ‘바바라’는 이 점에서 유독 강한 면모를 보였다.


역신장한 브랜드는 평균 11~24%의 낙폭을 보였다. 수입 편집숍과 명품 팝업 행사에 집중하면서 제화존이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남화는 ‘크로켓앤존슨’과 ‘금강’의 ‘헤리티지’만 전년대비 신장했다. 이 두 브랜드는 각각 7%, 30% 매출이 늘었다. ‘헤리티지’가 5억4천만 원으로 1위를, ‘탠디’가 4억7천8백만 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경기점은 동일 영업일 기준 입점 브랜드 중 90% 이상이 역신장 했다. 그 폭도 20%부터 40%로 다른 점에 비해 컸다. 지난해에 이은 연속 하락세로, 낙폭이 10~20%포인트 더해졌다.


양극화도 심해졌다. ‘탠디’가 8억2천9백만 원으로 1위를 기록했고, ‘금강’이 6억2천3백만 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반면 중하위권은 1억~3억 원대의 매출을 올렸다. 상위 그룹과 중 하위권 간의 격차가 최소 2배에서 8배까지 벌어졌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기 버튼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지면 뉴스 보기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