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개 패션·섬유 업체 2023년 1분기 실적

발행 2023년 05월 18일

오경천기자 , okc@apparelnews.co.kr

 

사진=게티이미지

 

패션·수출은 그나마 선방, 섬유 초토화

전체 상장사 중 절반 매출, 영업이익 감소

삼성물산, F&F, 영원무역 실적 호조 지속

 

[어패럴뉴스 오경천 기자] 국내 63개 패션·섬유 상장사들은 올 1분기 실적이 전년 동기보다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패션 41개, 수출 6개, 섬유 16개 등 63개 기업의 1분기 실적을 조사한 결과,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한 곳은 각각 31개로 절반 수준을 차지했다.

 

패션과 수출은 그나마 분위기가 좀 낫다. 패션은 41개 기업 중 27곳(65.9%)의 매출이 늘었고, 적자를 기록한 곳도 6개에 불과하다. 41개 기업의 총 매출은 5조2,664억 원으로 4.4% 증가, 영업이익은 5,382억 원으로 5.1% 감소다.

 

수출은 6개 기업 중 매출이 증가한 곳은 1개에 불과하지만, 영업이익이 개선됐다. 6개 기업의 총 영업이익은 2,627억 원으로 전년보다 8.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섬유 업계는 작년에 이어 극심한 부진을 겪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소비 감소는 물론, 원자재 및 에너지 가격 등 제조원가 상승으로 수익구조 악화가 이어지고 있다. 16개 기업 중 매출이 늘어난 곳은 4개 불과하며, 영업이익이 늘어난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부문별로 주요 기업들의 실적을 살펴보면, 패션에서는 삼성물산 패션부문, F&F, 더네이쳐홀딩스 등의 활약이 주목된다.

 

자료=전자공시시스템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지난해 사상 첫 2조 원 돌파에 이어 올 1분기에는 24.8%의 높은 신장률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도 2.7배나 증가했다. 갤럭시, 빈폴, 에잇세컨즈 등 간판 브랜드들의 활약과 함께 SSF샵, 10 꼬르소꼬모, 비이커 등 유통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신규 콘텐츠 개발이 주효했다는 분석.

 

F&F는 매출은 전년 대비 13.8% 증가한 4,974억 원, 영업이익은 10.6% 증가한 1,488억 원을 기록했다. 국내는 물론 중국 등 해외 사업의 지속적인 확대가 주효했다. 더네이쳐홀딩스는 신규 사업 투자로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했지만, 매출이 41.7%나 뛰었다. ‘내셔널지오그래픽’의 캐리어 및 키즈 사업 호조와 해외 시장 진출에 따른 영향이다.

 

수출 부문에서는 영원무역홀딩스의 활약이 컸다. 매출은 13.7%, 영업이익은 17.7% 증가했다. 수출 부분의 성장과 함께 ‘노스페이스’ 내수 사업이 크게 활약했다. ‘노스페이스’는 이 기간 37.2% 성장한 2,150억 원으로 1분기 첫 2천억 원을 돌파했다.

 

수출 부문은 면방, 화섬 등 전 업계가 초토화다.

 

원면은 원가 상승으로 전 세계적으로 소비가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 이에 따른 원면 가격 하향 압박으로 수익구조 악화까지 이어지고 있다. 경방과 대한방직은 적자를 기록했고, 디아이동일은 –88.7%의 영업이익 감소를 기록했다.

 

화섬 역시 중국 등 해외 저가 제품들의 과잉 공급 영향으로 오더량 감소와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극심한 부진을 겪고 있다. 효성티앤씨, 태광산업, 휴비스 등 대기업들은 실적이 크게 악화됐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기 버튼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지면 뉴스 보기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