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배너 이미지

[최낙삼] 버려지는 식품도 줄여야 한다

발행 2022년 08월 31일

어패럴뉴스기자 , appnews@apparelnews.co.kr

최낙삼의 ‘포스트 리테일’

 

출처=게티이미지

 

인간에게 꼭 필요한 의식주 중 패션과 식품은 닮은 부분이 많다. 가장 닮은 것은 유통기한이다.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이나 철 지난 재고 옷은 환영받기 어렵다. 극도의 개인적인 취향이 구매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공통점도 있다. 발음도 ‘멋과 맛’으로 비슷하지 않은가. 인간의 삶에 꼭 필요하지만 만들어지고 사용되기까지 각 과정에서 많은 양이 버려지는 옷만큼이나 생활에서 많이 버려지고 있는 것이 식품이다.

 

우크라이나 사태와 그로 인한 여파로 각종 식재료의 가격이 치솟고, 기름과 밀가루를 비롯한 식량원 공급이 차질을 빚고 있다. 한쪽에서는 먹을 것이 없어 난리지만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등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에서 생산하는 식량 40억t 중 3분의 1은 손실되거나 낭비되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연간 1조 달러(약 1260조원)에 이르러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약 2%에 해당하는 엄청난 규모다. 미국에서만 2019년 기준 식품의 35%가 팔리지 않거나 먹지 않아 쓰레기로 버려졌다.

 

한국도 공급되는 농식품 가운데 약 14%가 폐기된다. 이로 인한 경제적 비용은 20조원(2018년 기준). 패션과 마찬가지로 식품도 유통·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 57%, 먹고 남긴 음식물이 30%, 보관하다 폐기하는 음식물이 9% 등을 차지한다. 2019년 기준 농식품 폐기량은 약 500만t에 달한다. 버려지는 이유도 다양해서 마트 납품 기준과 비교해 모양과 크기와 색깔이 달라서, 유통기한이 애매하게 남아서, 반값할인 등 먹지도 않을 음식을 사서 등의 이유로 미국에서 소비자에게 판매된 우유의 20%, 계란의 23%, 생선의 40%는 쓰레기장으로 직행한다.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OECD 37국을 살펴보면 외식 부문 농식품 폐기량은 미국이 가장 많다(1인당 64㎏). 한국은 6위(26㎏)로 OECD 평균(26㎏) 수준이다. 하지만 내식(가정내 소비)부문에서는 한국의 가정 내 1인당 연간 농식품 폐기량은 71㎏로 OECD 평균(74.7㎏)보다는 낮지만 우리와 식생활 문화가 비슷한 일본(64㎏), 중국(64㎏)보다는 10% 이상 높은 편이다. 국회입법조사처가 밝힌 2019년 기준, 국내에서 하루에 버려진 식품 폐기물은 음식물쓰레기와 동식물성 잔재물을 더해 2만1,065톤에 이른다.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8~10%는 식품에서 비롯된다.

 

기아로 고통 받는 인구가 세계적으로 8억1000만 명에 달한다고 보고되는 지금 이처럼 버려지는 음식물은 세계 식품 공급 체계의 불균형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한편에서는 먹지도 않은 식품들이 매일 버려지고, 다른 한편에서는 굶주림에 시달리는 정반대의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음식물을 충분히 먹되 낭비만 하지 않아도 다른 한편의 굶주림을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얘기다. 2019년 기준 전체 식량 자급률 45,8%(곡물자급률 21.0%)로 식량의 수입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음식 낭비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식량 안보와 식량 주권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일본은 2001년 식품재활용법에 이어 2019년 식품손실감소법을 만들어 시행 중이다. 식품 손실 감소의 달(10월)을 지정, 지자체별 맞춤형 시책, 식품 재분배 활동 지원, 소비기한 등 식품표시방법 간소화, 식품 손실 저감 신기술 지원 등을 하고 있다.

 

중국은 시 주석의 지시로 '먹방 금지법'도 만들었다. '먹방' 콘텐츠가 인기를 끌며 음식 낭비가 심해지자 이를 부추기는 행위 자체를 금지시킨 것이다. 위반 시 최대 10만 위안(약 1900만원)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양국은 식품 폐기물 발생 자체를 억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한국은 2023년 1월부터 ‘소비기한 표시제’를 실시하여 음식물의 식음 기간을 늘림으로써 쓰레기양을 줄이는 방향을 잡았다. 그러나 기업들이 포장지를 바꾸는 비용 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시행 1년을 계도기간으로, 일부 제품군에 대해서는 시행일로부터 8년 안에 아무 때나 적용하도록 예외를 둔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식품도 정부가 나서서 생산과 유통, 소비 등 전 단계에서 손실과 낭비를 줄이는 방향을 제도화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기 버튼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지면 뉴스 보기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